Character Controller 의 속성

1. Slop Limit : 경사로를 등반할 수 있는 최대각

2. Step Offset : 올라갈 수 있는 계단의 높이 설정
- 2미터 신장기준 0.1 ~ 0.4 가 최적

3. Skin Width : 갇히는 현상(Stuck)을 방지하기 위한 설정 Capsule Collider 의 반지름의 10% 정도가 최적

4. Min Move Distance : 설정값 이하로 움직이려 할 때 이동 할 수 없게 하는 옵션

5. Center : Capsule collider 의 위치를 설정하는 옵션

6. Radius : Capsule collider 의 반지름을 설정하는 옵션

7. Height : 모델의 스케일에 맞게 Capsule collider 의 높이 설정

5.0 부터 파티클 시스템에 자동 삭제 체크박스가 없다.

대신 아래의 스크립트를 파티클에 추가하면 해당 파티클의 수명이 다한 경우 자동으로 삭제가 된다.


1. 스크립트 컴파일 시 Standard Assets 폴더에 있는 스크립트가 먼저 컴파일 된다.

- C# 에서 자바스크립트로 접근시에는 반드시 이 폴더에 C# 스크립트가 위치 해야 한다.

2. 직접 스크립트 컴파일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경우

- Editor -> Project Settings -> "Script Execution Order" 로 진입한다.


3. Inspector 창에 아래와 같은 내용이 표시된다.


4. '+' 를 눌러 팝업에서 조정하고자 하는 스크립트를 추가한다.

(+ 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리스트 팝업이 뜬다.)


5. 각 스크립트 별로 가중치를 조정한다.


유니티와 비쥬얼 스튜디오 연동 

: 모노디벨로퍼를 비쥬얼 스튜디오로 대체


아래 링크에서 현재 설치된 비쥬얼 스튜디오 버전과 일치하는 툴을 다운로드 한다.

Visual Studio 2013

Visual Studio 2015


1. 설치 후 유니티로 이동을 하면 아래와 같이 Assets 폴더, Import Package -> 'Visual Studio 2013 Tools' 가 설치 된 것이 보인다.


2. 선택을 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패키지를 임포트 하겠다는 창이 뜬다. 

임포트를 선택.


3. 임포트 후 프로젝트를 보면 'UnityVS' 폴더에 몇가지 파일이 아래와 같이 보인다.


4. 이후 스크립트 파일을 더블클릭하게 되면 비쥬얼 스튜디오와 연동 되어서 열리게 된다.

간혹, *.sln 파일이 없다거나 스크립트 파일의 위치를 이동하게 되면, sync. 가 잘 맞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경우에는 메뉴에 있는 Visual Studio Tools 에서  'Generate Project Files' 를 실행하게 되면, 프로젝트 구성을 다시 생성하게 되어 문제 없이 동작 한다.



유니티에서 해상도 고정하는 방법.


[Android]


(스크립트가 시작시 -  Start() 에서)

Screen.SetResolution(1280, 720, true); // 1280 x 720 으로 조정

Screen.SetResolution(Screen.width, (Screen.width / 2) * 3 ); // 2:3 비율로 개발시

Screen.SetResolution(Screen.width, Screen.width * 16 / 9,  true); // 16:9 로 개발시



지정해 주면 고정비로 빌드가 되어 단말에서 지정 해상도로 출력이 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