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11 에서 보안 설정이 트레이나 설정에서 클릭시 열리지 않고 윈도 앱스토어로 이동되어지는 현상은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하여 초기화 하면 다시 이전과 같이 보안 설정에 진입 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Windows PowerShell 을 관리자 모드로 실행 한 다음 아래 명령을 입력

 

Get-AppxPackage Microsoft.SecHealthUI -AllUsers | Reset-AppxPackage

 

 

 

https://quasarzone.com/bbs/qf_sw/views/89859

 

윈도우 11 디펜더(Windows 보안) 비활성화 먹통 문제 해결

안녕하세요현재 윈도우11의 출시관련 정보 대비 직접운용관련 정보는 검색량이 많지 않아저처럼 찾아다니며 헤메실…

quasarzone.com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기호읽는법  (0) 2022.04.20
윈도우 환경변수 바로 적용  (0) 2022.04.02
DPI Calculator / PPI Calculator  (0) 2016.12.06
마우스 오른쪽 팝업창에 CMD 명령어 연결  (0) 2016.09.21

: Colon 콜론
; Semicolon 세미콜론
/ Slash 슬래시
\ Back Slash 백슬래시
@ At Sigh 엣 사인 or 엣
& Ampersand 앤퍼센드
' Aposterophe 어퍼스트로피
` Grave 그레이브
- Hyphen 하이픈
< Left Angle Braket 레프트 앵글 브라킷
> Right Angle Braket 라이트 앵글 브라킷
{ Left Brace 레프트 브레이스
} Right Brace 라이트 브레이스
[ Left Braket 레프트 브라킷
] Right Braket 라이트 브라킷
| Vertical Bar, Pipe 버티컬 바, 파이프
* Asterisk 아스테리스크
" Quotation Mark 쿼테이션 마크
! Exclamation Point 익스클레메이션 포인트
# Crosshatch 크로스해치
. Period or Dot 피리어드 또는 닷
~ Tilde 틸드
^ Caret, Circumflex 캐럿, 써쿰플렉스
% Percent Sign 퍼센트 사인
$ Dollar Sign 달러 사인
= Equal Sign 이퀄 사인

$>set

https://www.sven.de/dpi/


해상도에 따른 도트피치 계산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CLASSES_ROOT\*\shell]

[HKEY_CLASSES_ROOT\*\shell\executecmd]

@="Open Command Line on this Location"

[HKEY_CLASSES_ROOT\*\shell\executecmd\command]

@="cmd.exe"

[HKEY_CLASSES_ROOT\Directory\shell\executecmd]

@="Open Command Line on this Location"

[HKEY_CLASSES_ROOT\Directory\shell\executecmd\command]

@="cmd.exe"

[HKEY_LOCAL_MACHINE\SOFTWARE\Classes\*\shell\executecmd]

@="Open Command Line on this Location"

[HKEY_LOCAL_MACHINE\SOFTWARE\Classes\*\shell\executecmd\command]

@="cmd.exe"

[HKEY_LOCAL_MACHINE\SOFTWARE\Classes\Directory\shell\executecmd]

@="Open Command Line on this Location"

[HKEY_LOCAL_MACHINE\SOFTWARE\Classes\Directory\shell\executecmd\command]

@="cmd.exe"

   

  1. 위 내용을 text 파일로 작성 후, 확장자를 *.reg 로 저장
  2. 해당 파일을 실행 시켜서 레지스트리에 등록
  3. 탐색기 창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으로 팝업창을 확인 해보면, "Open Command Line on this Location" 이라는 명령어가 보임
  4. 실행을 하게 되면 현재 디렉토리에서 CMD 창이 열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