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열화 정리
https://hyesun03.github.io/2019/09/08/marshalling-vs-serialization/
마샬링(Marshalling) vs 직렬화(Serialization)
클린코드 14장보면서 정리하려고 파일 만들어뒀는데 이제야 쓴다. 직렬화는 많이 들어봐서 그런갑다..하는데, 마샬링이라는 단어를 저때 처음 들어봐서 좀 찾아봤었다. 찾아보면 관련 글들이 꽤
hyesun03.github.io
https://newseoul.tistory.com/144
직렬화(Serialization), 마샬링(Marshalling)의 의미?
직렬화 란? 그리고 마샬링 이란? 1. 직렬화(Serialization) 객체 데이터를 일련의 byte stream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직렬화라고 합니다. 반대로 일련의 byte stream을 본래의 객체 모양으로 복원하는 작업은
newseoul.tistory.com
https://donghyeon.dev/2020/11/07/%EC%A7%81%EB%A0%AC%ED%99%94%EC%99%80-%EB%A7%88%EC%83%AC%EB%A7%81/
직렬화와 마샬링
매번 마샬링과 직렬화 키워드를 볼 때마다, 느낌으로만 알고 있었다. 그러나 이펙티브 자바 아이템 3 에서 이 개념에 대해 나왔기 때문에 이번기회에 제대로 정리하고 가려고 한다.
donghyeon.dev
https://velog.io/@agugu95/Marshalling%EA%B3%BC-Serialization%EC%9D%98-%EC%B0%A8%EC%9D%B4
Marshalling과 자바 Serialization의 차이
원래 데이터 포맷을 변경하는 것은 직렬화만 알고 있었는데, golang을 하던 중 라이브러리에 Marsal이란게 있어서 찾아봄.
velog.io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onInclude 속성 (0) | 2022.04.08 |
---|---|
이전 자바 버전 다운로드 (JDK 1.6, JDK 1.7, JDK 1.8 etc...) (0) | 2019.07.29 |